국가/지역 검색
-
-
코트디부아르공화국
Republic of Cote d'Ivoire
- 수도 : 야무수크로(Yamoussoukro), *경제수도 : 아비장(Abidjan)
- 면적 : 33만2463㎢(한반도의 1.4배)
지도로 보기
기본정보
일반사항
- 국명 : 코트디부아르공화국(Republic of Cote d'lvoire)
- 수도 : 야무수크로(Yamoussoukro), *경제수도 : 아비장(Abidjan)
- 인구 : 3198만명 ('24, IMF)
- 면적 : 33만 2463㎢ (한반도의 1.4배)
- 언어 : 프랑스어(공용어), 종족어
- 종교 : 이슬람(42.5%),기독교(39.8%),비종교(12.6%) 등
- 민족 : 아칸(38%),볼타익/구르(22%),북부맨데(22%) 등
- 건국 : 1960.8.7.(프랑스로부터 독립)
- 정치현황
- 정부형태 : 대통령 중심제(직선제, 임기 5년)
- 주요인사
- 대통령 : Alassane Ouattara(알라산 와타라)
- 부통령 : Tiemoko Meyliet Kone(티에모코 멜리에 코네)
- 총리 : Robert Beugre Mambe(로베르 뵈그레 망베)
- 외교장관 : Kacou Houadja Leon Adom(까꾸 후자 레옹 아돔)
- 의회구성 : 양원제(상원 99석, 하원 255석)
- 주요정당 : RHDP(우푸에주의연합) 상원 58석, 하원 168석
- 경제현황
- GDP : 871억$ ('24, IMF)
- 1인당GDP : 2720$ ('24, IMF)
- 경제성장률 : 6% ('24, IMF)
- 화폐단위 : Franc CFA(1€ = 655.96FCFA, 고정환율)
- 교역 : '22 World Bank
- 수출액 : 164억 2000만$
- 수입액 : 178억 8000만$
- 수출품목 : 카카오, 원유, 고무 등
- 수입품목 : 원유, 쌀 등
- 주요자원 :
- 석유 : 약 1억배럴 매장(‘21),일산 29,400배럴('23)
- 가스 : 283.2억㎥ 매장(‘17), 일산 198만㎥('24)
- 주요자원 : 철, 니켈, 망간, 보크사이트 등
- 주요작물 : 카카오, 커피, 캐슈넛, 바나나, 팜유
- 우리나라와의 관계
- 외교관계
- 공관현황 :
-아국 : 1966.2.16. 주코트디부아르대사관 개설
※ 2023.1. 김생 대사 부임
-상대국 : 1997.6. 주한코트디부아르대사관 개설
※ 2021.10. Allou Wanyou Eugene BITI 대사 부임 - 투자현황 : 6,099만불(-'23. 누계)
- 교역 : '23, KITA
- 수출액 : 2억 1660만$
- 수입액 : 660만$
- 수출품목 : 기계류, 전자제품 등
- 수입품목 : 코코아, 천연 고무 등
- 교민현황 : 160명('25.6.)
- ODA현황 : 103.9백만불(-‘23. 누계)
- 주요협정 체결현황
- 1968.12. 의료기술협정
- 1980.02. 문화협정
- 1986.08. 경제·기술협력 협정
- 1999.01. EDCF 기본협력협정
- 2007.07. 포괄적 자원협력에 관한 MOU
- 2014.07. 건설교통인프라, 공공행정분야협력 MOU
- 2014.10. 무상원조기본협정
- 2014.10. 암센터건립을 위한 EDCF MOU
- 2014.10. 보건협력에 관한 MOU
- 2014.10. 경제협력 MOU
- 2024.06. 외교관·관용·공무여권사증면제협정
- 2024.06. EDCF 기본약정
- 2024.06.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(TIPF)
- 주요인사 교류현황
- 방한
- 2014.10. Ouattara 대통령(공식방문)
- 2014.10. Kone 정보통신부 장관
- 2015.04. Mabri 개발계획부 장관
- 2016.02. Achi 경제인프라부 장관·Eiffel 대통령실 장관
- 2018.05. Kaba 개발계획부 장관
- 2019.10. Aka 보건부장관
- 2021.11. Ballo 선정부장관
- 2023.09. Kaba 개발계획부 장관(KOAFEC)
- 2024.06. Ouattara 대통령(한-아프리카 정상회의) (Adom 외교장관, Kaba 개발계획부장관, Coulibaly 재정예산부장관, Diarrassouba 상공장관 대동)
- 방문
- 2010.02. 이용준 외교차관보
- 2012.04. 김재신 외교차관보
- 2013.04. 박재선 외교장관특사
- 2014.01. 김영복 KOICA 이사장
- 2019.01. 이주영 국회부의장
- 2019.09. 최성호 감사원 제2사무차장
- 2022.10. 김윤일 대통령실 미래정책비서관
- 2023.01. 최영한 재외동포영사실장
- 2023.05. 방문규 국무조정실장(대통령 특사)
- 2023.09. 송호성 기아차 사장(대통령 특사)
- 2023.10.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(대통령 특사)
- 2024.04.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(대통령 특사)
- 북한과의 관계
- 수교현황 : 1985.01.19. 수교
- 공관현황 :
북측 : 1985.02.23. 주코트디부아르 대사관 개설, 1992.12. 철수, 현재 주나이지리아대사관 겸임
코트디부아르측 : 1992.12. 주북한대사관 폐쇄, 주중국대사관 겸임
- 주요 정세
- 2015.11. '10년 대선과 달리, '15년 대선은 비교적 평화적으로 실시되었으며, Ouattara 대통령은 약 84% 득표로 재성 성공 및 취임
- 2016.01. 이후 Duncan 총리 재신임 및 부분 개각 단행
- 2016.10. Ouattara 정부는 '16.05월부터 개헌작업에 착수하여, △대통령 3선 출마 금지 조항 신설, △부통령제 신설, △양원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헌법개정안에 대해 국민투표 실시
- 2016.11. 국민투표 결과, 압도적 찬성으로 개정안 통과, 와타라 대통령은 제3공화국 헌법 공포
- 2016.12. 연립여당 RHDP은 '16.12월에 실시된 총선에서도 과반 확보
- 2017.01. Duncan 부통령, Gon Coulibaly 총리 등 제3공화국 첫 내각 출범
- 2019.01. 국제형사재판소 1심은 Gbagbo 전 대통령의 반인륜 행위에 대해 무죄 선고 및 조건부 석방(-'19.02.)
- 2021.03. 검사측은 강기 판결에 항소하였으나, 최종 무죄판결
- 2020.08. 유력 대통령 후보인 와타라 대통령은 개헌 헌법을 근거로 3선 출마 발표
- 2020.10. 대선, 약 94% 득표로 3선 성공
- 2021.03. 연립여당 RHDP은 '21.03월에 실시된 총선에서 과반 확보
- 2021.04. Patrick Achi 총리 등 와타라 3기 정부 내각 출범
- 2021.06. Gbagbo 전 대통령, 약 10년 만에 코트디부아르 귀국
- 2021.10. Gbagbo 전 대통령 본인이 창당한 인민전선(FPI) 탈당 후 PPA-CI 창설
- 2022.04. Achi 총리 사임 후 내각 전체해산, 와타라 대통령은 Kone 부통령 임명 후 공공지출 감축을 위해 32명으로 축소된 신 내각 발표, Achi 총리는 사임 1주일 만에 총리직 재수임
- 2023.10. 와타라 대통령은 10.06 내각 해산 후 10.16 Mambe 아비장 광역지사를 신임 총리로 임명하고, 다음 날 총리의 내각 구성 건의에 따라 신임 내각 발표
- 2025.10. 대선 예정
- 특이사항
· 여행경보
- 3단계 철수권고 : 라이베리아ㆍ기니 접경 서부 지역(뎅겔레Denguélé, 몽탄뉴Montagnes, 바핑Bafing), 부르키나파소 접경 북부 지역(초로고Tchologo, 붕카니Bounkani)
- 2단계 여행자제 : 상기 이외 전지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