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/지역 검색
카메룬공화국
Republic of Cameroon
- 수도 : 야운데(Yaounde)
- 면적 : 47만5440㎢(한반도의 2.2배)
지도로 보기
기본정보
일반사항
- 국명 : 카메룬공화국(Republic of Cameroon)
- 수도 : 야운데(Yaounde)
- 인구 : 2932만명 ('24, IMF)
- 면적 : 47만 5440㎢ (한반도의 2.2배)
- 언어 : 불어(인구 80%)·영어(인구20%) 공용어
- 종교 : 가톨릭(33.1%), 이슬람(30.6%), 개신교(27.1%) 등
- 민족 : Bamileke(22.2%), Biu-mandara(16.4%), Arab-Choa / Hausa / Kanuri(13.5%), Beti/Bassa,Mbam(13.1%) 등
- 건국 : 1960.1.1.(프랑스로부터 독립)
- 정치현황
- 정부형태 : 대통령 중심제
- 주요인사
- 대통령 : Paul BIYA(폴 비야), (1982년 취임, 7선)
- 총리 : Joseph Dion NGUTE(조셉 디옹 은구트)
- 외교장관 : Lejeune MBELLA MBELLA(르쥬느 음벨라 음벨라)
- 경제현황
- GDP : 527억$ (‘24, IMF)
- 1인당GDP : 1800$ (‘24, IMF)
- 경제성장률 : 3.6% (‘24, IMF)
- 화폐단위 : CFA Franc(1€=655.96/고정환율)
- 교역 : 112.5억불('22, World Bank)
- 수출액 : 42억 9000만$
- 수입액 : 69억 6000만$
- 우리나라와의 관계
- 외교관계
- 공관현황 :
-아국공관
‘69.1. 주카메룬 한국대사관 개설(‘98. 철수 후 ‘08. 재개설)
‘23.6. 남기욱 대사 부임
-상대국 : 주일본 대사관에서 겸임
※ 주일카메룬대사: 삐에르 젠게(Pierre NDZENGUE)
※ 주한명예영사 : 조동순(주)타이가 회장 - 투자현황 : 569만불(-'23 누계, 수출입은행)
- 교역 : 198.4백만불(‘24, KITA)
- 수출액 : 3억 3500만$
- 수입액 : 16억 4900만$
- 수출품목 : 폴리프로필렌, 폴리에틸렌 등
- 수입품목 : 천연가스 등
- 교민현황 : 99명('25)
- ODA현황 : 173.8백만불(-’23 누계, ODA Korea)
- 주요협정 체결현황
- 1970.08. 의료기술협력 각서
- 1977.11. 경제 · 통상협력에 대한 일반 협정
- 1983.08. 무역협정
- 1985.08. 문화협정 가서명
- 2011.02. KOICA 봉사단 파견협정
- 2011.11. 청소년 교류 약정
- 2013.07. 무상원조 기본협정 ('14.06 발효)
- 2013.12. 투자보장협정 ('18.04 발효)
- 2024.06. 외교관.관용여권 사증면제협정 (미발효)
- 2024.08.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(KOPIA) 센터 설치 MOU
- 2025.02. 국방협력협정 (미발효)
- 주요인사 교류현황
- 방한
- 1979.04. Keutcha 외무장관
- 1985.08. Sale 외무담당 국무장관
- 1989.07. Lawrence 국회의장
- 2003.05. Asafor 감사원장
- 2003.04. Ali 법무부장관
- 2004.07. Mebara 국무장관 겸 대통령비서실장
- 2006.11. Ngolle 대통령특사(임산부장관)
- 2008.03. Ndinga 산업광업기술개발부 장관
- 2009.06. Foumane 외교부 사무차관(제1차 한-카메룬정책협의회)
- 2009.11. Maigari 교통부장관, Motazé 경제계획지역개발부 장관
- 2010.10. Fuh 산업광업기술개발부 차관
- 2011.04. Ndinga 산업광업기술개발부 장관
- 2012.10. Sadou 공공계약부 장관, Mey 재무부 장관
- 2013.10. Atangana 에너지수자원부 장관
- 2014.10. Manaouda 에너지수자원부 장관
- 2014.10. Emmanuel 경제기획부 장관, Fuda 보건부 장관
- 2015.05. Alim 초등교육부장관
- 2015.11. Mbayu 외교부 사무차관(제3차 한-카메룬정책협의회)
- 2017.05. Perevet 고용직업훈련부장관
- 2018.05. Mey 재무장관 ( AfDB총회)
- 2018.05. Gwaboubou 광물장관 (KOAFEC 회의)
- 2019.06. Ngalle 교통장관 (IATA 회의)
- 2023.09. Ousmane Mey 경제장관(KOAFEC회의)
- 2024.03. Okala Bilai 상원 외교위원장(KF 행사)
- 2024.04. KONNEH NEBA GASPER 관세청장(무역원활화세미나)
- 2024.06. Mbella Mbella 외교장관(한-아프리카 정상회의)
- 2024.09. Beti Assomo 국방장관(REAIM회의 및 SDD회의)
- 2025.02. Beti Assomo 국방장관(국방협력협정 서명)
- 방문
- 1991.05. 김창훈 대통령특사
- 1995.02. 노영찬 대통령특사
- 1996.05. 김영수 대통령특사
- 2010.05. 박영준 국무차장
- 2011.06. 박석환 외교부 1차관(제2차 정책협의회)
- 2015.04. 이돈현 관세청 차장
- 2019.01. 이주영 국회부의장
- 2019.06. 한-카메룬 의원 친선협회(윤관석 의원 등)
- 2021.11. 최종문 외교부 2차관(제4차 정책협의회)
- 2022.10.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(대통령 특사)
- 2023.05. 최철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원단 위원
- 2023.09. 송호성 외교장관 특사(기아 대표이사 사장)
- 2023.11. 한덕수 국무총리
- 2024.04. 강인선 외교부 2차관(대통령특사)
- 북한과의 관계
- 수교현황 : 1972.03.03. 수교
- 공관현황 :
-북측 : 주콩고민주공화국대사관에서 겸임 (※ '95.4 주카메룬 북한대사관 철수)
-카메룬측 : 주중국대사관에서 겸임
- 주요 정세
- 1982. Paul Biya 총리(헌법상 대통령 유고시 권력승계자), Ahmadou Ahidjo 대통령 유고로 대통령 승계
- 1997. Biya 대통령 재선('92년 직선제 이후 3선)
- 2004. Biya 대통령 재선('92년 직선제 이후 3선)
- 2008. 헌법상 대통령 연임 제한 조항 철폐 움직임에 대한 반대 및 유가 가격 폭등에 항의하는 대규모 소요사태 발생
- 2008. 대통령 연임 제한 조항 철폐안 의회 통과
- 2011. Biya 대통령이 77% 지지로 재선(직선제 이후 4선)
- 2014.06. '기니만 해양안보 역내조정센터(ICC)' 설치
- 2015.02. 역내 국가들의 보코하람 공세 공동 대응을 위한 중앙아프리카 평화안보 정상회의 개최
- 2016. 북서부 영어권 지역에서 카메룬 정부의 교육계·법조계 불어권 인사 증대 기조에 반대하는 평화시위 발생,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소요사태로 비화
- 2017.10. 영어권 분리독립 세력, Ambazonia 공화국 선포
- 2018.10. Biya 대통령 71% 득표율로 재당선(7선)
- 2019.10. 영어권 사태 해결을 위한 국민대화 개최
- 2020.10. 카메룬 정부, '19.10 국민대화 후속조치로 '영어권 지역 재건 계획(PPRD) 발표 ('21.02 일본 총 2.75백만불 규모 지원)
- 2022.11. Biya 대통령 40주년 집권 기념식 개최
- 2023.03. 상원 선거 결과, 집권여당(CPDM) 전석(70석) 확보
- 2024.07. 現하원의 임기를 26.3월까지 1년 연장
- 2025.10. 대통령 선거 개최 예정